" async="async"> ', { cookie_domain: 'auto', cookie_flags: 'max-age=0;domain=.tistory.com', cookie_expires: 7 * 24 * 60 * 60 // 7 days, in seconds }); [ 미국 시장동향 ] 2018년 홈셰프 시대에 떠오르는 소형 가전제품
본문 바로가기

세상살이에 필요한 썸, Something/국제동향

[ 미국 시장동향 ] 2018년 홈셰프 시대에 떠오르는 소형 가전제품

KOTRA

2018년 홈셰프 시대에 떠오르는 소형 가전제품

2018-02-01  김지윤 미국 디트로이트무역관

 

 

 

 

 

- 소형 가전제품 시장규모 총 190억 달러 - 
- 2022년 수입 소형 가전제품 수요도 51% 전망 - 

 
□ 시장규모 및 동향    
  ㅇ IBIS World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미국 소형 가전제품 시장규모는 총 190억 달러임. 이

 중 기타 기기(Other Appliances) 28.3%를 제외하면 가정용 조리 기기(Household cooking appliance)가

27.6%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    
    - 그 외 가정용 냉장기 및 냉동기(Household refrigerators and home freezers) 23.7%,

가정용 세탁기(Household Industry Equipment) 20.4%를 차지함.

 

 

미국 소형 가전제품시장 구성표

 

[ 출처 : IBIS World / KOTRA ]    


 

 

미국 내 소형 가전제품 업체 분포도 

 [ 출처 : IBIS World / KOTRA ]     

  

 

 

ㅇ IBIS World에 따르면 GE Appliance가 23.6%로 미국 가전제품 시장 내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임.

그 외 Whirlpool Corp 19.1%, LG Electronics 9.1%, AB Electrolux 8.0%, AO Smith 5.9%를 차지함. 

  
미국 가전제품 업체 시장 점유율  

 [ 출처 : IBIS World / KOTRA ]     



    
ㅇ 상위 업체 외 소형 가전제품 제조 및 판매업체로는 KitchenAid, Cuisinart, Aroma, Black+Decker, Breville, Oster 등이 있음.

이들 업체가 전체의 34.3%를 차지함. 
  

 

 

기타 소형 가전제품 업체

 

 


    
  ㅇ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 내 판매되는 가전제품 중 85% 이상이 수입제품인 것으로 집계됨.   
    - 수입규모는 162억 달러로 중국이 35.7%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.

이 외 멕시코 34.4%, 한국 10.4%, 태국 4.4%가 있음.     
  
수입 국가 구성표  

 [ 출처 : IBIS World / KOTRA ]     

    
   
  ㅇ 2012년 미국 소비자의 수입 가전제품 수요도는 47.9%로 2017년 2.1% 상승한 50%를 보임.

이는 LG, Samsung, Haier, AB Electrolux, Phillips와 같은 다국적 기업의 미국 내 인지도

상승 및 멕시코 공장설립으로 인한 결과로 분석됨.    
    - IBIS World에 따르면 2022년 미국 내 유통되는 소형 전자기계의 51%가 수입품일 전망 
   
    

   
2022년 미국 내 수입 가전제품 수요도 전망
  

 [ 출처 : IBIS World / KOTRA ]     


       

□ 미국 소형 가전제품 트렌드    
  ㅇ Euromonitor에 따르면 주요 소형 가전제품으로는 식품 건조기, 전기식 오븐, 전기식 토스터, 블렌더 등이 있음.   
    - 소비자 평가 1위 제품으로는 식품건조기 Presto사, 전기식 토스터 Krups사, 블렌더 Vitamix사, 기식 오븐 Breville사가 있음.    
    · 소형 가전제품의 평균 가격대는 약 200달러로, 합리적인 가격대의 실속형 제품 수요 증가   
  ㅇ Walmart, Target 등 대형 유통체인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나 Amazon과 같은 대형 온라인을 통한 판매 또한 꾸준히 상승 중임.     
    - 동일 제품임에도 온라인 유통업체의 판매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음   
    · Presto사의 식품건조기 경우 Target의 판매가격은 59.99달러이며, Amazon은 약 20달러 낮은 39.90달러에 판매되고 있음. 
   

  
  1) 식품 건조기

식품 건조기 제조·판매 업체 및 가격

 

 [ 출처 : Ecokarma.com, Amazon  / KOTRA ]     

 

   
   
  ㅇ HS Code 841939를 기준으로 2016년 미국 시장의 전체 수입규모는 약 1억6789만 달러로, 전년대비 13.6% 감소함.   
  ㅇ  2016년 해당 품목의 대미 수출 최대 규모 국가는 독일로, 약 3467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체의 20.7% 차지함.

11위를 차지한 한국은 전년대비 35% 감소
   


 
미국 식품 건조기 수입동향(HS Code 841939 기준)    
(단위: 천 달러, %)


 

 

 

 2) 토스터  
토스터 제조·판매 업체 및 가격  

 


ㅇ HS Code 851672를 기준으로 2016년 미국 시장의 전체 수입규모는 약 1억1892만 달러로, 전년대비 19.8% 감소함.   
  ㅇ  2016년 해당 품목의 대미 수출 최대 규모 국가는 중국으로 약 1억1672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체의 98.2% 차지
  


미국 토스터 수입동향(HS Code 851672 기준)    
  (단위: 천 달러, %)  

 

 

 

 


 

3) 블렌더   
블렌더 제조·판매 업체 및 가격     

 [ 출처 : wiki.ezvid.com/Amazon - KOTRA ]

   


 ㅇ HS Code 850940을 기준으로 2016년 미국 시장의 전체 수입규모는 약 8억1297만 달러로, 전년대비 9.7% 감소함.  
  ㅇ  2016년 해당 품목의 대미 수출 최대 규모 국가는 중국으로 약 6억4014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체의 78.7% 차지 
  ㅇ 2016년 해당 품목 1882만 달러를 수출한 한국은 3위를 차지했으며 2015년도 대비 18% 감소함.    


 
미국 블렌더 수입동향(HS Code 850940 기준)
   (단위: 천 달러, %)


  ㅇ HS Code 850940을 기준으로 2016년 미국 시장의 전체 수입규모는 약 8억1297만 달러로, 전년대비 9.7% 감소함. 
  ㅇ 2016년 해당 품목의 대미 수출 최대 규모 국가는 중국으로 약 6억4014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체의 78.7% 차지. 
  ㅇ 2016년 해당 품목 1882만 달러를 수출한 한국은 3위를 차지했으며 2015년도 대비 18% 감소함.  

 

 


  

4) 전기식 오븐   
전기식 오븐 제조·판매 업체 및 가격

 


ㅇ HS Code 851660을 기준으로 2016년 미국 시장의 전체 수입규모는 약 12억4002만 달러로, 전년대비 19% 증가함.  
ㅇ 2016년 해당 품목의 대미 수출 최대 규모 국가는 중국으로 약 6억5736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체의 53% 차지.

해당 품목 7212만 달러를 수출한 한국은 4위를 차지했으며 2015년도 대비 18% 증가함.
 
   
미국 전기식 오븐 수입동향(HS Code 851660 기준)  
(단위: 천 달러, %)


 


□ 시사점    
ㅇ 미국 소형 가전제품시장은 수입제품에 대한 수요가 2022년 51%에 달할 전망. 따라서 시장 선점 기회가 많은

블루오션으로 사료됨. 주요 소형 가전제품 수요지역 조사 및 지역별 특성에 맞춘 시장 진출전략 모색 필요. 

ㅇ 소형 가전제품의 경우 Amazon 등 대형 온라인을 통한 판매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현재 판매되는 소형 가전제품과

차별화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 추가를 통해 미국 온라인 유통업체 공략. 
ㅇ 중소기업의 비중이 높은 소형 가전제품 시장에서 저렴한 가격과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 개발을 통해 20~30대 여성을

중심으로 소비지출 확대 전략 수립. 

홈페이지 제작, 카탈로그 제작과 같은 전통 방식의 마케팅을 넘어 Youtube, 페이스북, 인스타그램, 트위터 등

SNS(Social Network Service)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으로 미국 내 브랜드 인지도 강화. 
자료원: Global Trade Atlas, TechGearLab.com, wiki.ezvid.com, Consumer Reports, Ecokarma.com, Amazon, Hoovers,

IBIS World,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내부자료 및 자료 종합